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9

참을 수 없는, 풀리지 않는 화(anger) 우리는 화를 낸다.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TV만 보거나 컴퓨터 게임만 하는 자녀들 때문에 부모는 화가 나고, 아이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것은 해주지도 않으면서 자신들이 느끼기에 별것도 아닌 것을 두고 소리를 높이고 매를 드는 부모 때문에 화가 난다. 하기야 혼을 내고 매를 드는 부모에게도 화가 나는 것은 매한가지이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일해서 비싼 사교육비까지 지불하고 자나 깨나 자식 걱정에 가슴 졸이는데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참다 참다 매까지 들게 만든 자녀들에게 부모는 화가 치민다. 아내가 끓인 찌개가 너무 짜서 화가 나고, 상여금의 일부를 의논도 하지 않고 써버린 남편 때문에 아내는 화가 난다. 회사 상사의 굴욕스러운 처우에 화가 나고, 친구가 오해해서 화가 나고, 나와 생각이 다른 동료와의 다툼으.. 2022. 9. 24.
수치심의 방어적 현상들, 수치심의 돌봄 수치심은 약하고 깨어지기 쉬운 자기 자신의 무가치함과 부적절함의 표현이며 주로 낮은 자존감이나 우울감 등으로 나타나지만, 수치심 또한 그러한 무가치함과 부적절함에 대한 자기 자신의 수치스러운 느낌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서 흔히 다른 행동의 현상들을 통해서 드러나기도 한다. 즉 수치심의 방어로 나타나는 현상들에 대하여는 Gershen Kaufman과 John Bradshaw의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들을 꼽는다면 격노, 완벽주의, 교만, 경멸, 권력과 통제를 추구하는 것, 비판과 책망, 타인을 기쁘게 하거나 타인에게 친절을 베풀기 등을 들 수 있다. 즉 이런 행동들은 자신의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타인에게 자신을 과시하거나 자신을 좀 더 잘 보이려 하며 또한 타인에게 자신의.. 2022. 9. 24.
자기 결함의 결과 코헛이 수치심을 주로 과대적 자기가 인정과 지지를 잘 받지 못했을 때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라고 보고 있는데 그는 자기의 이상화된 부모 원상의 발달 측면에서는 굳이 특정하게 수치심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런데도 사실상 코헛은 수치심에 관한 그이 초기 논문에서 수치심과 자아 이상의 관계를 논했으며 자아가 자기애적 요구에 대해 적절한 조절을 하지 못했을 때 수치심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후 그의 연구에서 코헛은 자아 이상이라는 개념을 포기하였고 수치심을 자아 이상의 실패가 아닌 자기대상의 실패로 인한 자기의 결함과 관련시켰다. 이는 아마도 코헛이 우선으로 관심을 가졌던 과제가 자기의 심리적 기능의 이해와 회복이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코헛이 자기의 수치심 이론에서 이상적 자기와 관련하.. 2022. 9. 23.
자기 의식적 감정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은 그 정서적 성격과 경험을 규명하는 것에 있어서 다양한 심리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다. 특별히 수치심을 자기에 대한 내성과 관련한 정서로서 다른 정서들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 규명하는 경향의 정신 분석적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Michael Lewis는 수치심을 자기 전체에 대한 자기의 평가와 관련한 감정이라고 보고 있다. 즉 수치심이 일어날 때 자기에 의한 자기의 평가는 수치심을 유발하게 된 자기의 행동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정체성과 자기 존재감 전체에까지 미치게 되는 것으로 총체적 자기에 초점을 두게 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볼 때 수치심은 자기 전체에 관심을 가지는 특성을 지니는 감정으로서 자기 자체의 결함들을 자각하는 총체적 자기의.. 2022.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