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29 자기구조의 발달결핍으로 인한 자기의 결함(defect) 앞서 논의되었던 응집적 자기의 정상적인 자기애적 발달에 있어서 자기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 구조적 결핍이 생기면 자기는 그 발달과정에서 결함을 가지게 된다. 즉 자기의 결핍이란 정확히 말해서 자기구조의 결핍으로 인한 자기의 결함을 뜻한다. 자기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만일 부모의 공감적 보살핌의 지속적이고도 과도한 실패로 인해 유아가 최적의 발달조건을 가지지 못하면 심각한 자기애적 외상을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유아의 과대적 자기와 이상화된 부모 원상은 그것들이 건강하게 잘 발달할 기회를 잃게 된다. 이것은 대개 자기대상의 공감적 기능의 결여로 인한 것인데, 주로 부모 혹은 돌보는 이의 공감적이지 않은 성품 탓이거나 혹은 그들만의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외상(특별히 자기애적 상처)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 2022. 9. 17. 변형적 내면화와 보상구조 최적의 좌절은 자기구조를 세우는 내면화의 발달과정에 중요한 요소로서 변형적 내면화를 일으키게 하는 조건이 된다. 최적의 좌절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변형적 내면화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최적의 좌절은 변형적 내면화의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심리구조를 세우게 되는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된다. 자기대상의 시기적절한 공감적 반응의 실패를 통해서 유아는 자기대상에 점진적으로 실망을 경험하게 되고, 자기대상의 기능들은 변형적 내면화를 통해서 유아에게 점차 현실적으로 된다. 따라서 최적의 좌절은 점진적으로 시기적절하게 변형적 내면화를 일어나게 하여 부모가 없어도 이제는 부모가 해주던 자기대상의 기능(거울처럼 반영해주기, 안심하도록 위로해주고 긴장을 줄여주기, 함께 있어 줌으로 자신감을 강화해주기 등)을.. 2022. 9. 16. 공감적 반응과 최적의 좌절 응집력 있는 자기의 발달을 위해서는 자기대상의 공감적 반응이 필수인데 그 공감적 반응은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시기적절하게 잘 선택된 공감적 반응이어야 한다. 즉 유아는 엄마가 제공하는 자기대상의 기능들을 경험하게 될 때 그 공감적 반응이 유아의 나이나 상황에 가장 적절하게 유아의 자기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험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아무리 엄마가 자기대상으로 훌륭하게 역할을 한다고 해도 그것이 유아의 발달적 시기와 맞지 않거나 채워지기를 바라는 유아의 욕구에 적절하게 맞물리지 않으면 그것은 자기대상 최적의 공감적 기능으로 유아에게 경험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에게 가장 적절한, 너무 과도하거나 너무 모자라지도 않는 엄마의 자기대상 기능이 요구되지만 그렇게 기능해야 하는 엄마의 공감적 반응이 사실상 언제.. 2022. 9. 12. 유아가 경험하는 대상 2 아이는 강하고 힘 있는 대상과의 융합을 통해서 취약한 자신을 보호하고 불안한 느낌을 줄이고 싶어 하는데 이를 코헛은 이상화 자기대상 욕구라고 하고 있다. 아이가 자기 부모의 이상화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스스로 자기를 강화하고 활력 있게 만드는 것은 아이가 경험하는 이상화 자기대상 기능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아이들은 자신의 엄마 혹은 아빠를 가장 멋지고 힘 있는 대상으로 생각하고 그러한 대상이 자신을 모든 어려움에서 구해주고 완벽하게 보호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아이는 대개 자기 부모를 힘이 있고 강한 존재로 받아들인다.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을 부모는 무엇이든지 거뜬히 해내는 "전능한" 존재이다. 배가 고플 때 먹을 것도 요술처럼 만들어내고, 자기 몸이 실린 거대한 기계를 움직이게도 하고.. 2022. 9. 6. 이전 1 ··· 3 4 5 6 7 8 다음